요즘 원룸 월세가 너무 비싸졌다.
작은 방 하나 구하려고 해도 보증금 1,000만 원에 월세 60만 원은 기본이다.
자취 중인 나에게는 이 월세가 한 달 생활비의 절반을 넘는 부담이었다.
그러던 중 우연히 “역세권 청년주택”이라는 말을 듣게 됐다.
서울에서 교통 편한 역세권에 살면서도 월세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말에,
“이게 진짜 가능한 건가?” 싶어서 직접 서울주거포털에 들어가봤다.
생각보다 공급도 다양했고, 내가 살고 있는 성동구·강남구 주변에도 실제로 공급 중이거나 예정된 청년주택이 많았다.
월세를 줄이고, 출퇴근 시간을 줄이고, 내 삶의 균형을 되찾고 싶은 마음으로
서울시 청년주택 제도를 본격적으로 알아보게 되었다.
✅ 서울시 청년 주택 청약제도란?
서울시는 청년 주거 안정을 위해
💡 역세권 청년주택,
💡 청년매입임대주택,
💡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등
다양한 유형의 공공 임대 주택을 청년에게 공급하고 있어.
그중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건 바로:
🚉 역세권 청년주택
지하철역 반경 350m 이내에 위치한 청년 맞춤형 임대주택
서울시와 민간 건설사가 협력해
주거비를 줄이고, 교통 접근성 높은 위치에 공급하는 청년 특화 주택
📌 입주 대상 조건 (2024년 기준)
항목 | 조건 |
---|---|
연령 | 만 19세 ~ 만 39세 |
소득 | 도시근로자 월 평균 소득의 120% 이하 |
(1인 기준 약 280만 원 이하, 매년 변경 가능) | |
자산 | 총 자산 2억 9천만 원 이하, 자동차 3,557만 원 이하 |
거주지 | 서울시 또는 수도권 거주자 |
주택소유 | 무주택자만 가능 |
🏠 공급 유형별 구조
유형 | 설명 | 임대료 수준 |
---|---|---|
공공임대 | 서울시가 시세의 30~50% 수준으로 직접 운영 | 매우 저렴함 |
공공지원 민간임대 | 민간이 공급, 서울시가 일정 기간 임대료 통제 | 시세의 85~95% |
민간임대 | 조건 완화된 청년 대상 민간 임대 | 시세 기준, 보증금 선택형 |
공공임대가 가장 인기 높지만 경쟁도 치열
→ 소득 낮고 무주택일수록 유리함
🧾 실제 신청 방법
① 서울주거포털 접속
② ‘청년 주택’ or ‘역세권 청년주택’ 공고 확인
→ 상시 모집 or 특정 시기 (연 3~4회 공고)
③ 본인 조건 확인 후 온라인 신청
→ LH/SH 또는 민간 운영사 플랫폼으로 연결됨
④ 선정되면 입주자 발표 → 계약 진행
💬 입주자 선정 기준
- 소득 수준 낮을수록 가점
- 청약통장은 필수 아님
- 타 공공주택 미입주자 우선
- 장애인, 기초수급자, 청년 부모 우선 가산 있음
- 동일 순위 경쟁 시 → 추첨 or 가점 방식
💡 실제 임대료 예시 (2024년 기준)
위치 | 공급 유형 | 월 임대료 | 보증금 |
---|---|---|---|
마포구 합정역 인근 | 공공임대형 | 약 20~30만 원 | 1천만 원 이하 |
영등포구 당산역 | 민간임대형 | 약 50~60만 원 | 2천만~3천만 원 |
동작구 상도역 | 공공지원형 | 45~55만 원 | 조정 가능 |
전세 or 월세 선택형도 존재함
→ 보증금 높이면 월세 낮아짐 (전환형 옵션)
✅ 자주 하는 질문 (FAQ)
Q. 청약통장이 있어야 신청 가능한가요?
→ ❌ 필요 없음. 별도 청약 절차를 따름 (LH/SH 기준)
Q. 재직 중이어도 신청할 수 있나요?
→ ✔️ 가능. 단, 소득 기준 초과하면 제한
Q. 대학생, 대학원생도 신청 가능할까?
→ ✔️ 만 19세 이상이고 무주택자라면 가능! (소득 기준 충족해야 함)
Q. 거주 기간은 얼마나 되나요?
→ 보통 2~4년까지 가능, 갱신 조건 있음
💬 마무리 요약
“서울에서, 지하철역 근처에, 저렴한 임대료로 사는 방법은
아직도 남아 있다.청약 점수 없어도 되고, 무주택 청년이면
누구나 신청 자격이 있다.”

🏙️ 서울 성동구 & 강남구 청년주택 현황
2024년 기준 – 공급 중 or 예정 중심
✅ 성동구 청년주택 공급 현황
성동구는 특히 왕십리·금호·행당동 등 교통 요지 중심으로 공급 중이야.
① 왕십리역 인근 – 역세권 청년주택 (공급 완료)
- 📍 위치: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인근
- 🚇 지하철: 2호선·5호선·분당선 환승역
- 🏠 공급 규모: 약 330세대
- 🏗 공급 유형: 민간임대 + 공공지원형
- 💡 특징: 대학생·청년·신혼부부 대상, 보증금 전환형 가능
- 🗓️ 입주: 2022~2023년 입주 시작 → 일부 재공급 시기 있음
② 행당역 인근 – 역세권 청년주택 (공급 예정)
- 📍 위치: 행당동 168번지 일대
- 🚇 지하철: 5호선 행당역 도보권
- 🏠 공급 규모: 약 250세대 예정
- 🏗 공급 유형: 민간임대
- 🗓️ 입주 예정: 2025년 하반기 예정
- 💡 현황: 건축 허가 완료 → 착공 중
③ 금호역 청년주택 (소규모 공급형)
- 📍 위치: 성동구 금호동 4가
- 🚇 지하철: 3호선 금호역 인근
- 💡 공급 유형: 청년 단독거주 특화, 원룸 위주
- 🗓️ 입주 시기: 미정 (사업 승인 단계)
✅ 강남구 청년주택 공급 현황
강남구는 민간임대 + 공공지원형 비중이 높고,
수서·삼성·대치동 중심으로 공급 중이야.
① 수서역 인근 – 역세권 청년주택 (공급 중)
- 📍 위치: 강남구 수서동 729번지 일대
- 🚇 지하철: 수서역 SRT + 3호선 + 수서~광주선 예정
- 🏠 공급 규모: 약 400세대
- 🏗 공급 유형: 공공지원 민간임대
- 🗓️ 입주 시기: 2024년 하반기 예정 (모집공고 예정)
- 💡 특이사항: SRT 접근성 + GTX-A 예정지 근처
② 삼성역 역세권 청년주택 (계획 중)
- 📍 위치: 삼성동 109번지 외
- 🚇 지하철: 2호선 삼성역, 위례선 환승권
- 🏗 추진 단계: 지구단위계획 수립 중
- 🏠 입주 예정: 2026년 이후 가능성
- 💡 주거+오피스 혼합형 청년주택 특화 단지 예상
③ 대치역 소형 청년주택 (건축 중)
- 📍 위치: 대치동 1010번지 일대
- 🚇 지하철: 분당선 한티역 & 2호선 대치역 중간
- 🏗 공급 유형: 민간임대 중심
- 🏠 규모: 약 120세대 규모
- 🗓️ 입주: 2025년 상반기 예상
📌 청년주택 정보 확인 방법
🏠 역세권 청년주택 내부 시설 & 평수 정보
“저렴하다고 해서 불편하진 않을까?”
✅ 기본 구조는 원룸 위주 (1인 가구용)
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은 대부분 **원룸 또는 소형 주거형태(오피스텔, 도시형 생활주택)**로 구성돼 있어.
🧱 기본 구조 (1세대 기준)
구성 요소 | 설명 |
---|---|
전용면적 | 16㎡ ~ 26㎡ 수준 (약 5~8평) |
방 구조 | 원룸 (침실+주방 통합형, 간이 분리형도 있음) |
욕실 | 샤워실+변기+세면대 일체형 (풀옵션형은 건식 구조도 있음) |
주방 | 1구 or 2구 인덕션 / 소형 싱크대 / 렌지 수납장 포함 |
창문 | 베란다 없음. 전면 창문 or 작은 통창 구조 |
📌 실제 공급 예시 (2024년 기준)
📍 [성동구 왕십리 인근 민간임대형 청년주택]
- 전용 19.8㎡ (약 6평)
- 풀옵션: 빌트인 냉장고, 세탁기, 전자레인지, 에어컨
- 월세: 보증금 1,000만 원 기준 월 27~32만 원
📍 [강남구 수서동 공공지원형 청년주택]
- 전용 24㎡ (약 7평)
- 구조: 간이 분리형 원룸 (침실 + 주방 공간 살짝 분리)
- 공용 복도식, 층별 방음 우수
- 옵션: 인덕션, 냉장고, 세탁기, 시스템 에어컨, 붙박이장 포함
- 월세: 보증금 2천
3천만 원 / 월세 4555만 원
🧳 옵션은? (공공임대 vs 민간임대 차이)
항목 | 공공임대 | 민간임대형 |
---|---|---|
세탁기 | 있음 (빌트인 or 별도 제공) | 있음 |
에어컨 | 대부분 있음 (벽걸이 or 시스템) | 있음 |
냉장고 | 대부분 제공 | 있음 |
인덕션 | 1~2구 (일체형) | 있음 |
책상/침대 | 공공임대는 없음 (자가 구매 필요) | 일부 있음 |
Wi-Fi | 별도 설치 / 민간은 기본 제공 많음 | 대부분 제공 |
✔️ 대부분 “반(半)풀옵션” 수준이 기본이야.
→ 침대나 책상은 없는 경우 많지만,
가전 3종(에어컨, 세탁기, 냉장고)은 거의 필수 옵션으로 포함됨!
🏢 공용시설 있는 곳도 있어요!
일부 대단지 청년주택(300세대 이상)은
공용 커뮤니티 공간도 마련돼 있어:
시설 | 내용 |
---|---|
공용세탁실 | 층별로 운영되거나 지하에 있음 (공공임대 중심) |
스터디룸 | 민간임대형 일부에 존재 |
택배보관함 | 무인 택배함 기본 설치 |
CCTV | 공용 복도, 엘리베이터 등 실시간 모니터링 |
커뮤니티룸 | 입주민 대상 소모임 / 프로그램 운영하는 곳도 있음 |
자전거보관소 | 지하 또는 1층에 설치 |
💡 청년 입주자 실제 후기 요약
“원룸보단 작지만, 가성비 생각하면 만족도 높음”
“풀옵션 덕분에 이사비용도 줄었고, 역세권이라 출퇴근 개편함”
“방음은 건물마다 편차 큼 → 입주 전 커뮤니티 후기 꼭 확인!”
“엘리베이터 있는 곳/없는 곳 차이 큼. 고층일수록 꼭 체크!”
📂 최신글은 👉 BLOG 에서 확인하세요.